
정부가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해양 방류 관련 전문가 시찰단을 23∼24일 파견한다.
한일 정상은 7일 정상회담을 해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한국 전문가들의 현장 시찰단 파견에 합의했다.
외교부 등에 따르면 양국은 이르면 이번 주 한일 국장급 협의를 개최해 5월 23∼24일 시찰단 파견의 구체적 내용에 대해 협의한다.
윤석열 대통령은 8일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는 대통령실 청사에서 개최된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한일정상회담에서 논의된 안보, 산업, 과학기술, 문화, 미래세대 교류 등과 관련해 철저한 후속 조치에 임해 달라”고 당부했다.
시찰단 세부 일정으론 일본 경제산업성 및 도쿄전력홀딩스 주식회사 관계자 면담, 오염수를 해양에 방류하는 시설인 해저터널 시찰 등이 검토될 것으로 알려졌다.
시찰단은 관련 부처 관계자와 산하기관 전문가로 구성된다. 정부 관계자는 지원 업무를 위해 실무급으로 참여할 것으로 전해졌다.
도쿄전력은 지난달 25일 약 1030m 길이의 해저터널 굴착을 완료했다.
일본은 올 여름부터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LPS, Advanced Liquid Processing System)로 정화한 후 이 터널을 이용해 원전에서 1㎞ 떨어진 바다에 방류할 계획이다.
더불어민주당 후쿠시마원전오염수해양투기저지대책위원회는 8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를 목전에 둔 지금 ‘시찰’ 구경을 할 때가 아니라 안전성 ‘검증’을 할 때다”라며 정부에 ▲시찰단을 오염수 방류에 비판적인 전문가들로 구성 ▲수시로 방문조사 할 수 있도록 일본 정부와 약속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보관 실태 및 ALPS에 대한 원자료 확보 ▲안전성 확인 전까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않겠다는 약속 받을 것을 촉구했다.
호사카 유지 세종대학교 독도종합연구소 소장은 8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내각총리대신이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한국 전문가들의 현장 시찰단 파견을 수용한 것은 오염수 방류에 대한 국제사회의 반발을 무마하기 위한 것으로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