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6일 있은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내각총리대신의 한일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야권 등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국민의힘이 독일을 예로 들며 일본에 과거사에 대한 반성과 청산을 촉구해 눈길을 끈다.
국민의힘 김기현 당 대표는 20일 국회에서 개최된 최고위원회의에서 “우리 당은 민주당의 당리당략적 반일선동을 초월해 미래를 위한 결단, 경제와 안보를 위한 결단으로 국익 극대화를 위한 외교 정상화에 박차를 가하겠다”며 “일본도 과거보다 더 진전된 자세와 진정성을 갖고 침탈의 과거사를 청산하는 일에 책임감 있게 협조해야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독일의 참회 모습은 독일이 세계 속에서 도덕적 선진국으로 인정받는 주요 기반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그동안 최근 한일정상회담 국면에서 일제의 강제동원 등에 대해 사과도 반성도 없는 행태에 대해 별다른 지적을 하지 않아 이번 독일의 사례를 든 것은 매우 이례적으로 평가된다.
‘KBS’ 보도에 따르면 일본 집권 자유민주당 외교부회장 대리인 마쓰가와 루이 자민당 의원은 16일 일본외국특파원협회가 개최한 공식 기자회견에서 “강제동원 문제는 한국이 스스로 해결해야 할 문제다”라며 일제하 강제동원은 없었고 따라서 사과나 반성도 할 필요가 없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그는 “일본이 (과거사에 대해) 한국에 다시 사과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라는 질문엔 “절대 그렇지 않다. 아베 신조 전 총리가 일본의 과거사와 관련한 최종 입장을 밝힌 바 있다”며 “기시다 총리가 1965년 청구권 협정(대한민국과 일본국간의 재산 및 청구권에 관한 문제의 해결과 경제협력에 관한 협정)으로 모두 해결됐다는 우리의 기본적인 입장에 대해 타협할 수도 없고 하지도 않을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유승민 전 의원은 20일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과거사에서 일본이 가해자, 우리가 피해자였다는 역사의 진실은 변할 수 없다. 피해자가 왜 가해자의 마음을 열어야 하냐?”라며 “역사의 진실마저 부정하려는 일본에 저자세를 취할 이유는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