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김기현 당 대표가 첫 일성부터 야권을 맹비난했다.
김기현 당 대표는 9일 국회에서 개최된 최고위원회의에서 박진 외교부 장관이 6일 발표한 ‘강제징용 대법원 판결 관련 정부입장’에 대해 “윤석열 정부가 강제징용 피해자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내놓았다”며 “예전에 민주당 쪽에서 내놓은 방안과 큰 틀을 같이하는 것이고, 미래 지향적 한일관계를 위해 내놓은 결단이다”라고 말했다.
김기현 대표는 “사실 일본에 의한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는 문재인 정권이 더욱 꼬이게 한 측면이 있다”며 “문재인 정권, 민주당 정권은 국익과 미래를 생각하지 않고 오직 당리당략과 과거에만 연연하는 좁쌀 같은 근시안으로 일관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과거는 바꿀 수 없지만, 미래는 바꿀 수 있다. 미국과 유럽연합도 일제히 환영 일색이다. 일본이 우리에게 남긴 아픔에 대한 사죄와 반성이 충분하다고 생각되지 않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래세대를 위해 한일관계의 미래는 새롭게 쓰여져야 한다”며 “대한민국은 세계적 경제 대국인 만큼 글로벌한 시각을 가져야 한다. 당리당략에만 매달리는 무책임한 민주당의 모습을 답습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원내대표는 9일 국회에서 개최된 정책조정회의에서 “독일은 정부와 지멘스, 폭스바겐 등 6500여개 기업들이 총 7조2천억원 규모의 기금을 모아 약 6조1천억원 정도를 강제노역 생존자에게 배상했다”며 “독일 사례처럼 일본 정부와 전범 기업이 진심 어린 사죄와 반성을 담아 해결책을 제시하고 피해자가 이를 수용한다면 해결될 수 있는 문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런데 윤석열 정부는 불행한 과거의 역사도 모자라 강제동원 피해자의 해결되지 못한 상처와 갈등을 고스란히 국내 갈등의 불씨로 옮겨왔다”고 비판했다.
정의당 김현정 부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개최된 상무 집행위원회 회의에서 “애초에 강제동원 피해 배상은 다른 사안과 거래할 수 없는 사안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