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태원 핼러윈 압사 참사가 지난달 29일 오후 10시 15분경 발생하기 몇 시간 전부터 현장의 위험성과 급박성을 알리는 112 신고가 10건 넘게 접수됐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경찰청은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 제출한 ‘이태원 사고 관련 조치 및 향후대책’ 현안보고 자료에서 “사고 관련 경찰의 사전준비·현장대응 등 조치 적정성 전반을 점검하던 중 사고 당일 18시 34분경부터 현장의 위험성 및 급박성을 알리는 112 신고가 11건 접수됐었으나 대응이 미흡했던 것을 확인했다”며 “경찰청장 지시로 조치 사항에 대한 감찰에 착수하고 경찰청에 진상 규명 등을 위한 독립적 특별기구를 설치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윤희근 경찰청장은 이날 청사에서 이태원 참사에 대한 기자회견을 해 “저희 경찰은 사고가 발생한 직후부터 진상을 명백히 밝히기 위해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이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하기 직전에 현장의 심각성을 알리는 112 신고가 다수 있었던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신고내용을 보면 사고 발생 이전부터 많은 군중이 몰려 사고의 위험성을 알리는 급박한 내용들이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112 신고를 처리하는 현장의 대응은 미흡했다는 판단을 했다”고 시인했다.
윤희근 청장은 “경찰은 이번 사건의 진상을 명확히 밝히고 책임을 규명하기 위해 모든 부분에 대해 예외 없이 강도 높은 감찰과 수사를 신속하고 엄밀하게 진행하겠다”며 “특히, 사전에 위험성을 알리는 112 신고를 받고 제대로 조치했는지에 대해 사실관계를 철저히 확인하겠다. 112 신고 처리를 포함해 전반적인 현장 대응의 적정성과 각급 지휘관과 근무자들의 조치가 적절했는지 등도 빠짐없이 조사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고 경찰에 맡겨진 책무를 완수하기 위해 제 살을 도려내는 읍참마속의 각오로 임하겠다”며 “이를 위해 오늘부터 경찰청에 독립적인 특별기구를 설치해 투명하고 엄정하게 사안의 진상을 밝히겠다”고 말했다.
윤 청장은 “국민안전을 책임지는 관계기관들의 유기적인 대응에 대해서도 부족한 점이 없었는지 원점에서부터 면밀히 살펴보고 구조적인 문제점을 찾아내겠다”며 “나아가 향후 범정부 차원의 재발방지 대책 논의에도 적극 참여해 다시는 이러한 사고가 반복되지 않도록 경찰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가 발생하기 전인 지난 2018년과 2019년엔 핼러윈 축제와 관련해 배치된 경찰 인력은 40명도 안 됐지만 올해엔 137명이 배치됐었다.
더불어민주당 이성만 의원(인천 부평구갑, 행정안전위원회, 초선)이 서울교통공사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핼러윈 주간 토요일 이태원역 하차객은 2017년 6만4209명, 2018년 6만2085명, 2019년 5만8061명, 2020년 1만7245명, 2021년 3만1878명이었다.
지난달 29일은 총 8만1573명이 하차했다.


1일 오전 11시 기준 이태원 핼러윈 압사 참사 사망자는 156명이고 신원은 모두 확인됐다. 내국인 사망자 130명의 시신은 인도가 완료됐다.

경찰청은 “사고를 유발한 인물은 있었는지 등 제기되는 의혹에 대해서도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수사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