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경기지사의 성남시장 재임 시절 대장동 개발 사업 특혜 의혹이 정치권 전반으로 번지고 있다.
국민의힘 곽상도 의원의 아들이 대장동 사업에 참여한 화천대유에서 근무한 뒤 50억원의 퇴직금을 수령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불똥이 국민의힘 쪽으로 튀자 전격적으로 의원직 사퇴를 선언했다.
그동안 수세에 몰렸던 이 지사 측은 이를 발판으로 대대적인 역공에 나섰고, 국민의힘은 특검으로 모든 의혹의 진상을 규명하자며 되치기를 시도했다.
다만 민주당 이낙연 전 대표 측은 이 지사 책임론을 거론하며 검경 수사에 협조할 것을 요구하는 등 송영길 당 지도부와 현격한 입장차를 드러냈다.
이재명 캠프의 대장동TF 단장인 김병욱 의원은 기자회견을 열고 퇴직금 50억원에 대해 "수사기관은 제3자뇌물죄가 아닌지 수사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지사 측은 그러나 야당의 특검·국정조사 요구에는 정치 공세에 불과하다며 선을 그었다. 대신 검찰과 공수처 수사를 하면 된다는 입장이다.
송영길 대표도 국민의힘의 특검 요구와 관련, "지금까지 13차례 특검 있었지만 단 한번도 검찰 조사 없이 특검으로 바로 간 경우는 없다"면서 "국힘은 검찰조사에 협력해서 실체를 밝혀달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낙연 전 대표 측은 "이(대장동) 사업의 인허가권자이고, 사업의 설계자를 자처한 만큼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이 지사를 직격하고 나서 당내 파열음을 낳았다.
캠프 대변인인 이병훈 의원은 "관련자들은 정쟁이 아닌 검경 수사를 통해 진상을 밝히는데 협조해야 한다"며 "대장동 개발사업은 부동산 개발 인허가, 시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민관합작의 총체적 개발비리로 드러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은 '대장동 의혹'의 몸통은 여전히 이 지사라며 특검과 국정조사 도입을 한층 더 압박했다.
당 핵심 관계자는 "화천대유라는 민간 업체를 엄청나게 배 불려주는 이상한 구조를 만들고 인허가한 사람이 이 지사고 그게 이 사건의 본질"이라며 "곽 의원 문제도 나왔으니 더더욱 특검을 도입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곽 의원의 아들 병채 씨는 별도 입장문을 내고 "원천징수 후 28억원을 2021년 4월 30일경 제 계좌로 받았다"고 '퇴직금 50억원' 수령을 인정했다.
그러나 "저는 너무나 치밀하게 설계된 오징어 게임 속 '말'일뿐"이라며 근본적 책임은 이 지사에게 있다고 지적했다.
곽 의원 역시 이날 오전 "거꾸로 이야기하면 이 지사가 그런 돈을 벌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준 것 아니냐"며 특검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도 오후엔 전격적으로 의원직 사퇴를 선언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방미 중인 이준석 대표 지시에 따라 이날 오후 긴급 최고위를 열어 곽 의원에 대한 거취 문제를 논의하며 곽 의원에 대한 제명 등 중징계를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권주자인 유승민 원희룡 후보 등이 곽 의원에 대한 제명·출당 조치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