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화이자ㆍ노바백스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백신 2300만명 분을 추가로 확보했다. 올 4월부터 화이자 백신 접종이 앞당겨 실시된다.
질병관리청은 16일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상반기의 보다 안정적인 백신 수급을 위해 코로나19 백신 2300만 명분을 추가 계약한다”며 “정부는 화이자 백신 300만 명분(600만 회분)을 추가 구매 계약(2월 15일)하고, 당초 3분기였던 공급 시작시기를 1분기(3월 말)로 앞당겼다. 또한, 그간 구매 계약 논의를 진행해 온 노바백스 백신 2000만 명분(4000만 회분)에 대한 계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질병청은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백신 생산·공급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어 특히 상반기 백신 물량이 제한적인 상황”이라며 “정부는 이러한 백신 수급의 다양한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해 지난해 계약한 화이자 백신 1000만 명분(2000만 회분)에 더해 300만 명분(600만 회분)을 추가 구매함으로써 총 1300만 명분(2600만 회분)의 화이자 백신을 구매 계약했다”고 말했다.
이어 “또한, 화이자 백신은 당초 3분기부터 도입할 예정이었으나 제약사와의 조기 공급 협상 결과에 따라 1분기(3월 말) 내 50만 명분(100만 회분), 2분기에 300만 명분(600만 회분)이 공급될 예정”이라며 “현재 화이자 백신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허가 심사를 진행 중이며, 3월 말 도입되는 백신에 대한 국가 출하 승인이 완료되면 4월부터 예방접종을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전 세계적으로 백신 공급의 불확실성이 많은 상황에서 국내 생산·공급이 가능한 노바백스 백신 및 화이자 백신 조기 도입을 통해 안정적 수급에 기여할 것”이라며 “정부는 노바백스 백신 2000만 명분(4000만 회분)을 더해 지금까지 총 7900만 명분(1억5200만 회분) 백신을 확보했으며, 앞으로도 조기 공급과 신속한 예방 접종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질병관리청은 16일 질병관리청에서 SK바이오사이언스(대표: 안재용)와 코로나19 노바백스 백신 공급 계약 체결식을 개최하고, 2000만 명분(4000만 회분) 선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12일 노바백스사와 백신 기술 도입 계약(기술 라이선스인)을 체결했고 이와 연동해 질병관리청은 SK바이오사이언스와 노바백스 백신 구매 계약을 체결하게 됐다. 구매 계약 체결한 노바백스 백신은 오는 2분기부터 순차적으로 도입된다.
노바백스와 SK바이오사이언스 간 기술 도입 계약 등을 통해 SK바이오사이언스 공장에서 노바백스 백신을 추가로 생산하고 SK바이오사이언스와 정부 간 계약을 통해 SK바이오사이언스가 생산한 노바백스 백신을 정부가 선 구매(약 2000만 명분)해 국내에 공급한다.
노바백스 백신은 기술이전 방식으로 국내에서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하는 첫 사례가 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백신 개발 원천 기술 확보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백신 공급 기반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노바백스 백신은 기존 인플루엔자, B형간염 등 다수 백신에 적용되는 합성항원 방식으로 그간 정부가 구매한 mRNAㆍ바이러스 전달체 방식과 다른 새로운 플랫폼이다.
합성항원 백신은 항원 단백질을 합성해 면역증강제와 섞어 인체에 투여함으로써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냉장(2~8℃) 조건으로 보관 및 유통이 가능하다.
한편 홍정익 질병관리청 예방접종관리과장은 16일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과의 인터뷰에서 “저희들은 지금 변이바이러스에 대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고, 특히 백신의 효과가 변이바이러스에 있는지에 대해서도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