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전자상거래업체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의 국내 시장 공습에 국내 이커머스 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학계는 물론 정부까지 나서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는 국내 전자상거래업체들을 보호(?)하기 위해 관계 법령 및 해외 사례들을 수집하며 집중 연구에 나섰다.
22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저가 공세를 주무기로 하는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의 국내 시장 진출이 가속화되면서 그간 견고했던 국내 이커머스 시장 구조가 요동치고 있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지난 2월 알리 앱의 월간 사용자 수는 818만명으로 전년 대비 130% 급증했다. 지난해 7월 한국 서비스를 시작한 테무도 7개월 만에 581만명의 이용자를 확보했다. 특히 알리는 이용자 순위에서도 11번가(736만명)를 제치고 2위까지 치고 올라 쿠팡(3,010만명)을 추격 중이다.
네이버와 쿠팡 등 국내 이커머스 전문업체들은 물론 신세계, 이마트, SK, 롯데 등 유통 대기업들마저 바짝 긴장하는 모양새다.
신세계그룹의 경우 3조5000억원을 주고 산 계열사 G마켓이 알리와 직접 경쟁해야 하는 오픈마켓 위주의 사업을 하고 있고, 알리가 국내 기업과 함께 식·음료 시장까지 진출하면서 SSG닷컴의 시장마저 위협받고 있다. SK계열사인 11번가와 티몬, 인터파크커머스, 위메프 등도 오픈마켓을 주사업으로 삼으면서 중국업체들과의 경쟁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이마트는 이날 나이스신용평가(나신평)로부터 장기신용등급을 기존 'AA/부정적'에서 'AA-/안정적'으로 하향 조정받았다. "오프라인 소매유통 부문의 사업경쟁력이 약화하는 가운데 이커머스 부문 내 투자 성과 발현이 지연되고 있다"는게 결정적 이유다. 이는 곧 알리, 테무 등 중국업체들과 비교해서 온라인 유통부문의 경쟁력이 심각히 떨어지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나신평은 "향후 경기 하강국면에서 국내 가계 소비여력이 위축될 것으로 예상되는 점, 온라인 채널과의 경쟁강도 심화 기조 등이 회사의 주력 사업부문인 온·오프라인 소매유통 사업의 중단기적인 부담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이마트는 이커머스 부문의 높은 비용부담과 건설 부문 실적 악화 등으로 최근 수익성이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나신평에 따르면 지난해 연결 기준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 대비 매출액 지표는 5.3%로 전년 대비 하락했고, 이마트 성수·가양점 영업 종료와 트레이더스 실적 둔화 등은 오프라인 비중이 높은 영업 수익성에 영향을 끼쳤다.
이런 가운데 공정거래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중국 이커머스에 대한 전담 조직을 만들고,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국내 시장 공략 상황을 살피고 있다. 필요하면 중국 업체들에 대한 반덤핑조치 등 시장보호조치를 불사한다는 태세다.
이달 초 공정거래위원회는 알리익스프레스가 소비자 보호 의무를 위반했다며 현장 조사에 착수했다. 공정위는 서울 중구 알리코리아 사무실에 조사관을 보내 소비자 분쟁 대응 관련 자료를 확보하고 전자상거래법상 규정된 소비자 보호 의무를 위반했는지 여부를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학계에서도 중국 이커머스의 공습으로부터 국민과 국내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봇물터지듯 제기하고 있다.
지난 21일 여의도 FKI타워 콘퍼런스센터 토파즈룸에서 개최된 한국인터넷기업협회 세미나에서 참가자들은 "국내 온라인 쇼핑 시장 성장이 이미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중국 이커머스의 공습으로 국내 기업의 위기가 심화하고 있다"며 경계감을 표시했다.
한국플랫폼입점사업자협회 신순교 정책국장은 "중국 이커머스의 국내시장 장악 속도가 걷잡을 수 없는 수준으로, 이에 따라 국내 플랫폼 입점 사업자의 매출이 10~15%가량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작년 플랫폼경쟁촉진법 등을 반대한 주요 이유 중 하나가 이러한 상황이 우려되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외대 법학전문대학원 신지혜 교수는 "국내 기업은 서비스 운영, 소비자 보호를 위해 각종 규제 준수 비용을 부담하고 있어 중국 기업과 가격 경쟁이 되지 않는 상황"이라며 중국 이커머스 내 위해 상품 등에 대해 소비자보호를 위해 즉시 IP 접속 차단을 할 수 있는 기구를 두는 방안 등을 제안했다.
단국대 정연승 교수는 "미국은 이미 정부 차원에서 중국 이커머스의 공습을 경제·안보적 관점으로 접근·대응하고 있으나 우리 기업들은 도와주는 우군이 없다"며 "소비자 보호를 위한 적극적 제도 개선, 우리 제조 상품의 브랜드 가치 제고, 국내 역직구 채널 활성화가 필요하고 정부 차원에서 소비자 관련 데이터가 중국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한국에 서버를 두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