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윤석열 제20대 대통령 선거 후보가 문재인 정부가 중국 편향적인 정책을 써 왔지만 한국 국민들 대부분은 중국을 싫어한다고 주장했다.
윤석열 후보는 28일 서울의 한 호텔에서 개최된 주한미국상공회의소 간담회에서 ‘한국 수출의 25%가 중국으로 가는데, 특정국가에 집중도나 의존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질문을 받고 “현 정부가 중국 편향적인 정책을 써 왔지만 한국 국민들, 특히 청년들 대부분은 중국을 싫어한다”며 “과거엔 그렇지 않았는데 중국 사람들, 중국 청년 대부분이 한국을 싫어한다”고 말했다.
윤 후보는 “한·미·일이 튼튼한 공조를 갖고 중국을 상대했을 때는 서로가 굉장히 호감을 갖고 사업과 여러 문화 협력에 있어서도 좋은 결과를 나타냈고, 양국 국민이 서로 호의적인 마음을 가졌다”며 “그런데 이 정부 들어 중국 편향적인 정책을 쓰고 미중 간 중간자 역할을 한다고 했지만, 결국 관계가 나쁜 것으로 끝났다”고 비판했다.
‘미국은 주 동맹국인 한국과 일본이 서로 협력하고 지역 안보를 위해 협력해 주는 게 중요하다’는 질문엔 “한일 관계는 1998년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의 정신을 받아, 한일 간 미래 발전을 위해 서로 협력하고, 그 기반 하에 과거사 문제도 풀어 나가자는 것”이라며 “관계가 가깝지 않으면 역사 문제를 정리하기 어렵고, 서로 으르렁거리는 상황에선 역사 문제를 논의할 수 없다. 가까운 관계가 되고 서로 간 이익을 나누는 관계가 돼야 과거사 문제가 잘 풀리게 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일 관계의 경우, 관계가 나빠질 정도가 아니고 '관계가 없다'고 할 정도”라며 “이 정부가 역사와 이념을 갖고 한일 간 관계를 거의 고의적이라고 할 정도로 과도하게 폭파시켰다고 봐야 할 정도로 국가 간 도대체 있을 수 없는 태도를 취해 오다 보니 여기까지 왔다”고 비판했다.
윤석열 후보는 “한일 관계 복원은 어렵지 않다. 과거에 해 왔던 대로 한일관계가 나쁘지 않았다. 국교정상화 이후에 한일관계가 계속 괜찮았다”며 “과거에 했던 대로만 해도 한일관계가 어렵지 않게 정상화 될 수 있다. 한일관계 정상화는 한·미·일 상호 공조가 원활하게 되는 데에 큰 레버리지가 된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강선아 대변인은 “대한민국은 북핵의 위협 속에 미·중·러·일 4강에 둘러싸여 있다. 때문에 미·중 경쟁은 날이 갈수록 첨예화되는 상황에서 대한민국의 지도자라면 정교하고 정밀한 발언으로 굳건한 한미동맹은 물론 중국과의 우호 관계를 유지해야 할 역량이 필수적이다”라며 “안보와 경제, 기후 문제 등에 있어 중요한 상대국인 중국과의 관계를 말 한마디로 이처럼 쉽게 부정해 버리는 윤 후보가 어떻게 대한민국의 외교를 감당할 수 있겠느냐?”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