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등 경기도 남부에 2102만㎡ 규모의 세계 최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가 조성된다. 2030년 기준으로 월 770만장의 웨이퍼가 생산된다.
정부는 15일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 반도체관에서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을 주제로 한 세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를 개최해 이런 것들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방안’을 발표했다.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는 경기도 평택시·화성시·용인특레시·이천시·안성시·성남시 판교신도시·수원특례시 등 경기 남부의 반도체 기업과 관련 기관이 밀집한 지역 일대를 의미한다.
현재 19개의 생산팹과 2개의 연구팹이 집적된 메가 클러스터에는 오는 2047년까지 총 622조원의 민간 투자를 통해 총 16개(생산팹 13개, 연구팹 3개)의 신규팹이 신설된다.
팹은 ‘fabrication facility’의 준말로 실리콘웨이퍼 제조 공장을 의미한다.
2027년에는 생산팹 3기, 연구팹 2기가 완공될 전망이다. 메가 클러스터는 2102만㎡ 면적에 2030년 기준 월 770만장의 웨이퍼를 생산하는 것으로 예상되는 등 규모는 세계 최대다.
정부와 기업은 연관 소재·부품·장비 기업, 공공 반도체 연구소, 팹리스(반도체 제조 공정 중 설계와 개발을 전문화한 회사), 인재를 양성하는 다수의 대학교들이 위치한 메가 클러스터에 HBM(High Bandwidth Memory, 고대역폭 메모리) 등 최첨단의 메모리 생산과 2nm(10억분의 1m) 이하 공정 기반 시스템반도체 생태계를 조성해 세계 최고의 반도체 생산기지를 조성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팹 신설은 그 직접적인 경제효과는 물론 소부장·팹리스 등 협력기업 생태계의 동반성장과 650조원의 생산 유발효과로 이어질 전망이다”라며 “메가 클러스터 내 팹 건설이 시작되면 팹에 들어가는 장비 생산과 원자재 제조업체의 생산도 함께 늘어 약 193만명의 직접 고용 창출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주변 지역 상권이 활성화됨과 동시에 도로·전력·공업용수 등 인프라 건설이 확대되면서 약 142만명의 간접 고용 창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어 “여기에 더해 16기의 신규 팹이 본격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하면, 반도체 칩 제조기업은 팹 운영 전문인력을 약 7만명 이상 새로 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그리고 반도체 팹에 필요한 소재·부품·장비를 공급하는 협력업체의 매출도 약 204조원 가량 증가하면서 4만여개의 일자리가 늘어나게 된다. 결국 팹 운영 과정에서도 총 11만개의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될 전망이다”라고 설명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종합하면,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내 622조원의 팹 투자는 팹 건설·운영 과정을 거치면서 총 346만명의 직간접 일자리를 새로 만들며 민생을 살찌울 것으로 기대된다”며 “정부는 이처럼 경제성장·일자리와 직결된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구축’을 더욱 가속화하고, 올해 반도체 수출 1200억불·민간투자 60조원 이상을 달성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