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기회복세 불구 단기부실 위험기업 211개 증가
최근 경기회복세 불구 단기부실 위험기업 211개 증가
  • 정연미 기자 kotrin3@hanmail.net
  • 승인 2021.06.06 2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경기회복세에도 불구하고 단기부실 위험기업이 211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5년간 평균 발생수 155개를 웃도는 수치다. 

이들 기업이 더 부실화해 한계기업으로 전락하는 것을 막고, 기존 한계기업의 정상화를 촉진하려면 산업별로 차별화된 세심한 정책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연구원은 6일 최근 10년간 한계기업 비중이 지속해서 증가하는 가운데 코로나19 충격으로 인한 단기 부실 위험 기업이 더욱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코로나19 이후 경제회복을 위한 한계기업 정상화 과제와 정책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새롭게 한계기업 징후(이자보상배율 1 미만)를 보이는 제조업 상장기업은 211개로, 직전 5년간 연평균 약 155개 대비 증가했다.

코로나19 발생 전부터 제조업 부문의 한계기업 비중은 지속해서 증가해 2011년 5.0%에서 2019년 11.9%로 두배 이상 늘었다.

특히 시장에서 퇴출당하지 않고 9년 이상 한계기업 상태로 존속 중인 장기한계기업도 2009년 34개에서 2019년 164개로 증가했다.

이런 가운데 코로나19 충격으로 단기 부실 위험에 빠진 기업이 늘었고, 이들 기업 중 일부가 한계기업으로 전환할 압력도 커졌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산업별로 한계기업 비중을 보면 조선·철도·항공 등 관련 제조업(기타운송장비 제조업)이 2019년 기준 25.1%로 가장 높았다. 이어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제조업 21.1%, 섬유제조업 18.1%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9년 이상 장기한계기업 비중은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제조업이 약 6.2%로 가장 높았다.

한계기업은 특정 산업에서 집중적으로 관찰됐고, 소규모의 오래된 기업으로 낮은 수익성과 높은 타인자본 의존도를 보이는 경우 한계기업 가능성이 높았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보고서는 "한계기업이 장기간 시장에 잔존하는 것은 자원배분의 비효율성을 높인다"면서 "적극적인 기업 정상화와 부실화 방지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계기업 정상화를 위해선 기업 단위의 구조조정 촉진 정책이 필요하며, 금융지원 정책도 산업 특성에 따라 차별화해 운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 통일경제뉴스 는 신문윤리강령과 인터넷신문윤리강령 등 언론윤리 준수를 서약하고 이를 공표하고 실천합니다.
  • 법인명 : (사)코트린(한국관광문화발전연구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내수동 75 (용비어천가) 1040호
  • 대표전화 : 02-529-0742
  • 팩스 : 02-529-0742
  • 이메일 : kotrin3@hanmail.net
  • 제호 : 통일경제뉴스
  • 등록번호 : 서울 아 51947
  • 등록일 : 2018년 12월 04일
  • 발행일 : 2019년 1월 1일
  • 발행인·편집인 : 강동호
  • 대표이사 : 조장용
  •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성섭
  • 통일경제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통일경제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kotrin3@hanmail.net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