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통화기금(IMF)가 한국경제에 대해 연속해서 뒤통수를 때리고 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연속해서 3번째 경제성장율 전망치를 하향하고 있는 것. 세계 경제나 중국 경제에 비해서고 사뭇 대조적이다.
IMF는 31일 발표한 '세계경제전망 수정'에서 한국 경제의 성장율은 낮춘 반면 세계경제와 주요 선진국 성장률은 지난해 10월 전망 때보다 올렸다.
이번 전망에서 IMF는 세계경제 성장률은 지난해 10월 2.7%에서 2.9%로 0.2%p 상향 조정했다. 반면 한국의 경제 성장률은 같은 기간 2.0%에서 1.7%로 0.3%포인트 내렸다.
IMF는 작년 7월 전망 당시 올해 한국 성장률을 2.9%에서 2.1%로 내린 바 있어, 이번이 연속 세 차례 하향 조정이다.
이번 IMF의 한국경제 전망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1.8%), 한국개발연구원(KDI·1.8%)보다 낮고 한국은행(1.7%)과는 같다. 정부(1.6%)나 아시아개발은행(ADB·1.5%) 등보다는 높다.
IMF는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도 2.7%에서 2.6%로 0.1%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IMF의 이번 전망은 전체 회원국이 아닌 주요 30여 개국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한국 성장률 조정 근거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다.
반면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2.9%로 상향하면서 중국의 경제 활동 재개(리오프닝)에 따른 경기 회복 기대감의 영향을 높게 반영했다. 미국·유럽 등 주요국의 예상 대비 견조한 소비와 투자 등도 상향 조정의 근거가 됐다.
IMF는 올해 미국 성장률을 1.0%에서 1.4%로, 유로존은 0.5%에서 0.7%로 각각 상향 조정했다. 중국은 4.4%에서 5.2%로 0.8%포인트나 올려 잡았다.
IMF는 다만 낮은 백신 접종률과 부족한 의료시설에 따른 중국의 경제 회복 제약 가능성,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미중 무역 분쟁에 따른 경제 분절화 등 경기 하방 위험이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경기 회복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 신흥국의 높은 부채 수준 등도 위험 요인으로 거론됐다.
IMF는 각국이 물가 상승에 대한 대응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근원 인플레이션이 명확히 하락할 때까지 금리를 인상하거나 금리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식량·에너지 취약층에 대한 선별지원을 강화하되 광범위한 재정 지원은 축소하는 등 점진적인 재정 긴축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