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석동산성, 감추었던 모습 드러내다
흑석동산성, 감추었던 모습 드러내다
  • 한광현 선임기자 aaa7711@hanmail.net
  • 승인 2022.10.31 09: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백제형 남문지, 명문기와 등 유적 유물 확인

 대전시는 시 기념물 15호인 흑석동산성 발굴조사를 통해 백제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성벽과 문지(門地) 그리고 인장(印章) 형태로 새겨진 명문기와 등 흑석동산성의 역사적 사실을 증명할 주요 유적과 유물을 발견했다고 최근 밝혔다.

발굴 전 흑석동산성(남문지 부근) (사진=대전시 제공)

 이번 흑석동산성 발굴조사는 ‘산성의 도시 대전’ 브랜드를 구축하기 위한 「산성종합정비사업」의 첫 조사로 실시됐다.

 흑석동산성은 서구 봉곡동에 위치한 해발 197m의 고무래봉 정상부에 축조된 둘레 약 480m의 테뫼식 산성이다.

발굴 후 흑석동산성(남문지 부근) (사진=대전시 제공)

 산성이 위치한 곳은 두계천과 갑천이 만나는 지점으로 삼면은 강으로 둘러싸여 있고 나머지 한 면은 산지에 둘러싸여 있으며, 대전에서 연산, 부여지역으로 통하는 길목을 내려다보고 있어 이 곳을 감시할 목적으로 축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국시대 전략적 요충지였던 흑석동산성은 『삼국사기』백제본기와 『구당서』 및 『신당서』백제조에 등장하는 나당연합군과 백제군의 격전지로 유명한 진현성으로 추정되며, 또한 김정호의 『대동지지』에 의하면 밀암고성으로도 불렸다고 한다.

‘병진와(丙辰瓦)’ 명문기와 (사진=대전시 제공)

 주요 발굴성과로는 우선 성의 남쪽에서 발견된 6m 높이의 백제시대 석축 성벽과 남문지(南門地)가 있는데, 석축에서는 견고함을 더하기 위한 그랭이 기법이 뚜렷했고, 남문지의 경우는 대전 최초로 발굴에 의해 확인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부여된다.

 북동쪽 성벽 구간에서는 석축과 토축 두 기법이 모두 확인되었는데, 석축 구간은 외벽과 내벽을 모두 돌을 쌓아 만든 협축식으로 축조되었고, 토축은 높이 2m 내외에 판축기법으로 만들어진 것이 확인되었다.

‘병진와(丙辰瓦)’ 명문기와 (사진=대전시 제공)

 특히 주목되는 것은 정방형의 인장으로 찍어 새긴 명문기와가 무더기로 출토되었다는 점이다. 백제 사비기의 표지적인 유물로 ‘인장와(印匠瓦)’라 불리는 이 기와에는 ‘存◯ 丙辰瓦’가 새겨져 있는데‘丙辰(병진)’은 백제 596년으로 추정된다.

 대전시 김연미 문화유산과장은 “흑석동산성의 연대와 조영 주체를 가늠할 수 있는 귀중한 유물로 대전 고대사의 새로운 퍼즐 조각을 찾아낸 것”이라며 “흑석동산성의 활용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다각도로 고민하겠다”고 했다.


  • 통일경제뉴스 는 신문윤리강령과 인터넷신문윤리강령 등 언론윤리 준수를 서약하고 이를 공표하고 실천합니다.
  • 법인명 : (사)코트린(한국관광문화발전연구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내수동 75 (용비어천가) 1040호
  • 대표전화 : 02-529-0742
  • 팩스 : 02-529-0742
  • 이메일 : kotrin3@hanmail.net
  • 제호 : 통일경제뉴스
  • 등록번호 : 서울 아 51947
  • 등록일 : 2018년 12월 04일
  • 발행일 : 2019년 1월 1일
  • 발행인·편집인 : 강동호
  • 대표이사 : 조장용
  •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성섭
  • 통일경제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통일경제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kotrin3@hanmail.net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