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세가 사라지고 월세가 늘어나는 추세가 가속화되고 있다.
11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 한해 서울 아파트 월세 거래비중이 처음으로 평균 40%를 돌파하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12월 현재까지 서울 아파트 월세 거래량은 총 8만6889건으로 전체 전월세 거래량(20만8315건)의 41.7%를 차지했다. 2010년 관련 통계가 공개된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서울 아파트 월세 비중은 2020년 평균 31.4%에서 지난해 38.5%로 늘었고, 올해 처음 평균 월세비중이 40%를 넘어섰다. 올해 전월세 총 신고건수는 11일 현재 작년(2만1399건)보다 적은 수준이나 월세는 이미 작년 연간 거래량(8만2340건)을 넘어섰다.
구별로 강남구의 월세 비중은 지난해 43.8%에서 올해 46.4%로 증가했다. 또 마포구는 작년 41.9%에서 올해 44.9%로, 노원구는 33.3%에서 38.1%로 각각 늘었다.
아파트뿐만 아니라 연립·다세대 월세 거래량도 총 4만3129건으로 전체 거래량(11만4866건)의 37.5%를 차지해 지난해(32.8%)보다 높아졌다.
단독·다가구 주택의 월세 비중도 전체 15만1625건중 10만2047건으로 67.3%에 달해 지난해(59.9%) 수준을 훨씬 넘어섰다.
이로써 서울 전체 주택의 월세 비중은 지난해 약 44%에서 올해 48.9%로 높아져 거의 50%에 육박했다.
이처럼 월세 거래가 늘어난 것은 금리 상승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금융기관이 전세자금대출 기준을 까다롭게 적용하고 있는 데다 연 2∼3%대였던 전세자금 대출금리가 올해 들어 연 7%까지 치솟으면서 이자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전월세 전환율은 3∼4%선인데 대출 이자 부담은 2배 가까이로 높아져 오히려 월세가 유리한 상황이 된 것이다.
전문가들은 전월세전환율과 금리의 역전현상이 지속되는 한 월세 선호현상은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국민은행 박원갑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집주인들은 종합부동산세 등 보유세 부담으로 월세를 선호해 왔는데 최근 금리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전세를 원했던 세입자들마저 월세를 찾거나 인상된 보증금을 월세로 돌려줄 것을 요구하는 상황"이라며 "임차인의 주거비 부담 증가는 가처분 소득 감소로 이어지는 만큼 저소득층에 대해선 월세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