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한반도 군사적 긴장 고조에 대한 책임을 한국과 미국에 돌렸다.
북한 국가항공총국 대변인은 8일 조선중앙통신에 담화를 공개해 “우리의 미사일 시험 발사는 반세기 이상 지속돼 오는 미국의 직접적인 군사적 위협들로부터 나라의 안전과 지역의 평화를 수호하기 위한 정상적이고 계획적인 자위적 조치다”라고 주장했다.
대변인은 "최근 국제민용항공기구(국제민간항공기구, ICAO,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총회 제41차 회의에선 우리의 미사일 발사가 ‘유엔’(United Nations, 국제연합) ‘안보리사회’(안전보장이사회) 결의와 국제민용항공 협약에 대한 위반으로 된다는 이른바 결의를 채택하였다“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항공총국은 이것을 우리 공화국의 자주권을 침탈하려는 미국과 그 추종 세력들의 정치적 도발 행위로 낙인하고 단호히 규탄 배격한다“고 밝혔다.
유엔 산하 전문기구인 ICAO는 지난달 27일부터 캐나다 몬트리롤 ICAO 본부에서 제41차 총회를 열었다.
최근 단행한 미사일 발사들에 대해선 ”국제비행하는 민용 항공기들의 안전을 사전에 충분히 고려한 것이다“라며 ”민용항공의 안전은 물론 주변 국가들과 지역의 안전에 그 어떤 위협이나 위해도 주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북한이 4일 발사한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 Intermediate Range Ballistic Missile)이 일본 상공을 통과해 일본 정부는 즉각 동북단 홋카이도와 혼슈 최북단 아오모리현 주민에게 대피령을 내렸고, 미사일 통과 지역에선 열차 운행이 일시 중단됐다.
대변인은 ”미국은 어떻게 해서든지 우리 공화국의 자위권 행사를 가로막아보려고 국제민용항공기구를 정치화하여 우리에 대한 국제적 압박을 조성하면서 국제적으로 공인된 항행 봉사를 중지시킨 것도 모자라 기구 성원국인 우리와의 기술 활동까지 차단하는 결의를 강압적으로 채택하게 하였다“며 ”이번 결의 채택의 근거로 들고나온 유엔안보리사회 결의에 대해 말한다면 그것은 오히려 국제민용항공기구가 표준으로 내세운 국제적인 항행 봉사를 차단시켜 국제 항행의 안전에 위협을 조성하고 성원국의 회비 송금마저 가로막아 기구의 재정 활동을 방해하고 있으며, 우리가 준수하여야 한다는 '사전 통지' 규정도 기술적으로 전쟁 상태에 있는 조선반도(한반도)의 현실을 전혀 반영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북한 국방성 대변인은 8일 조선중앙통신 기자와 한 문답에서 한미가 7∼8일 동해에서 미 해군 핵 추진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호(CVN-76·10만3천t급)가 참여하는 해상 연합기동훈련을 한 것에 대해 ”현재 미 핵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호 타격집단이 남조선(남한) 괴뢰 해군함선들과 조선 동해 공해상에서 우리를 반대하는 해상연합기동훈련을 벌리고 있다“며 ”이는 명백히 미국과 남조선의 극히 도발적이고 위협적인 합동군사연습에 우리 군대가 정당한 반응을 보인 데 대하여 소위 경고를 보내려는 군사적 허세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무장력은 매우 우려스러운 현 사태 발전에 대하여 엄중히 보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이 언급한 '군대의 정당한 반응'은 최근 연이은 탄도미사일 발사를 지칭한 것으로 보인다.
대변인은 ”미국이 불과 며칠 만에 핵 항공모함 타격집단을 조선반도(한반도) 수역에 재진입시켰다는 사실 그 자체만으로도 지역 정세에 미치는 부정적 파장은 대단히 크다“고 말했다.
레이건호 항모강습단은 지난달 23일 부산광역시로 입항해 26∼29일 한미 연합해상훈련, 30일 한미일 대잠수함전 훈련을 마친 뒤 일본 해역으로 이동했다.
하지만 4일 북한이 IRBM을 발사해 4500㎞를 비행시키는 도발을 감행하자 5일 다시 동해로 진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