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북한에 남북 당국 간 회담을 개최해 이산가족 문제를 논의할 것을 제의했다.

권영세 통일부 장관은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담화를 해 “오늘 정부는 남북 당국 간 회담을 개최해 이산가족 문제를 논의할 것을 북한 당국에 공개적으로 제의한다”며 “남과 북의 책임 있는 당국자들이 빠른 시일 내에 직접 만나서 이산가족 문제를 비롯한 인도적 사안을 허심탄회하게 논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권영세 장관은 “정부는 열린 마음으로 북한과의 회담에 임할 것이다. 회담 일자, 장소, 의제와 형식 등도 북한 측의 희망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것이다”라며 “북한 당국이 우리의 제안에 조속히 호응해 나올 것을 강력하게 촉구한다. 국민들께서도 정부의 노력을 성원해 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권 장관은 “남북 당국이 아픈 현실을 솔직하게 대면해야 한다. 이산가족이라는 단어 자체가 사라지기 전에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과거와 같은 소수 인원의 일회성 상봉으로는 부족하다. 당장 가능한 모든 방법을 활용해 신속하고도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정부는 언제든 어디서든 어떤 방식으로든 이산의 고통을 덜어줄 수 있다면 모든 노력을 기울여 나갈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통일부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따르면 현재 남한의 이산가족 생존자는 4만3746명이다. 이 중 80세 이상 비중이 66%가 넘는다.
이산가족 상봉은 지난 2000년 8월 처음 시작돼 2018년 8월까지 총 21회 이뤄졌다.
그러나 2019년 2월 27∼2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개최된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남북 이산가족 상봉은 성사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