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대권주자들이 19일 '성남 대장지구 의혹'을 둘러싸고 치열한 설전을 벌였다.
최대 승부처로 꼽히는 호남 순회 경선 투표를 앞두고 진행된 광주·전남·전북 TV 토론회에서다.
'네거티브' 비난을 의식해 직접 언급을 삼가던 이낙연 전 대표가 본격적으로 포문을 열었고 이에 이재명 경기지사도 적극적으로 반박, 이른바 '명·낙 갈등'이 고조되는 모습을 보였다.
또 "오랜 공직생활을 하며 권한을 이용해 법이 정한 것 이외에 추가적인 이득을 국민에게 돌려주신 일이 있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보수 언론과 보수 정치세력이 공격하면 그게 옳은 것이냐"며 "그들이 저를 공격한다고 해서 같은 당에서 동조하느냐"고 역공했다.
이에 대해 이 전 대표는 "보수 언론만이 아니라 모든 중앙언론이 문제 삼는다"고 반박했다.
그는 "정의감의 화신인 것처럼, 기득권 세력의 저항을 무찌를 수 있는 사람이라고 늘 말했는데, 한참 지난 뒤에 '지금 보니 그런 게 있다'고 하는 건 뭐냐"고 말했다.
박용진 의원도 "어떤 구조이길래 화천대유는 대박이 나고 국민은 독박을 쓰는 구조가 됐느냐"며 "결과적으로 이렇게 됐으니 당시 정책 책임자로서 사과할 의향이 있느냐"고 말했다. 이어 "정책 일관성과 관련해서도 일산대교는 안 되고 화천대유는 되는 것이냐. 일산대교와 대장동이 왜 다르냐"고 말했다.
이 지사는 "제가 부정을 하거나 1원이라도 이득을 봤다면 제가 후보 사퇴하고, 공직에서 다 사퇴하도록 하겠다"고 맞받았다.
반면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은 "대장동 사건은 윤석열 국기문란 사건을 덮으려는 야당의 선거전략"이라며 이 지사를 두둔했다.
그는 "시장의 조그마한 권한으로 총력을 다해 성과를 냈는데 왜 더 환수하지 못 했느냐고 하는 것은 방화범이 소방관에게 더 빨리 못 가서 피해를 키웠느냐고 하는 것과 같다"며 "이낙연 후보님이 불 끄려고 노력은 해봤느냐고 묻고 싶다"고 했다.
그러면서 "언론이 (의문 제기를)하면 왜 따라가느냐"며 "언론이 하라는 대로 하면 언론개혁은 어떻게 하느냐"고 비판했다.
이에 이 전 대표는 "매우 절제된 방법으로 설명을 요구하는 것마저 안 하고 덕담을 해야 하느냐"고 반박했다.
추 전 장관은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고발 사주 의혹과 관련해서도 "이 전 대표는 법무부 장관의 경질을 요구했다"며 "절 흔들지 않았으면 저는 개혁에 성공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이 전 대표는 "누가 흔들었느냐. 굉장히 해서는 안 될 말씀을 하셨다"고 불쾌감을 표시했다.
이 전 대표는 마무리 발언에서도 이 지사를 겨냥, "시장으로 일하던 성남시의 문제를 마치 제가 공격해서 생긴 문제처럼 호도하고 있다"며 "국민이 많은 의심과 분노를 느끼고 있다.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추 전 장관은 "모든 언론이 말하니 의혹이라 질문한다는 후보는 민주당 후보가 아니다"라며 "광주에서 지지해주지 않으면 정치 인생이 끝나는 것처럼 하는 것도 이해할 수 없다"고 이 전 대표를 직격했다.
한편 후보들은 일제히 호남 경제를 활성화하겠다며 신산업 육성, 새만금 개발, 금융기관 이전 등을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