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용 취임 후 한일 외교수장 첫 회담..오염수와 위안부 입장차 여전
정의용 취임 후 한일 외교수장 첫 회담..오염수와 위안부 입장차 여전
  • 이광효 기자 leekwhyo@naver.com
  • 승인 2021.05.06 14: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일관계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기로 합의
정의용 외교부 장관(왼쪽)과 모테기 도시미쓰(茂木敏充) 일본 외무대신이 5일 영국 런던에서 한일 외교장관 회담을 하고 기념사진을 위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사진=외교부 제공
정의용 외교부 장관(왼쪽)과 모테기 도시미쓰(茂木敏充) 일본 외무대신이 5일 영국 런던에서 한일 외교장관 회담을 하고 기념사진을 위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사진=외교부 제공

정의용 외교부 장관 취임 후 첫 한일 외교장관 회담이 성사됐다. 하지만 현재 한일 간의 가장 큰 쟁점인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과 위안부 문제에 대해선 입장차만 확인했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과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대신은 5일(현지 시간) 영국 런던 시내에 있는 한 호텔에서 마주앉았다. 이들은  안토니 블링컨(Antony J. Blinken) 미국 국무부 장관과 3자 회담을 한 후 자리를 옮겨 약 20분간 양자회담을 했다.

외교부는 5일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런던 G7 외교·개발 장관회의 참석을 계기로 현지 시간 5월 5일 오전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대신과 한일 외교장관 회담을 갖고, 상호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며 “양 장관은 한일이 동북아 및 세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긴밀히 협력할 필요성에 공감하고, 한일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자는 데에 뜻을 같이했다”고 말했다.

외교부는 “양 장관은 북한·북핵 문제 관련 한일 양국 및 한미일 3국이 긴밀히 소통해 온 점을 평가하고, 앞으로도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에 실질적 진전을 가져오기 위해 지속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며 “양 장관은 한일 간 현안 해결을 위해 양국 간 긴밀한 대화와 소통을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의용 장관은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이 주변국과 충분한 사전협의 없이 이뤄진 데 대해 깊은 우려와 함께 반대 입장을 명확히 전달했다.

정 장관은 “오염수 방류는 우리 국민의 건강과 안전, 그리고 해양 환경에 잠재적인 위협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교도통신은 “모테기 도시미쓰 외무대신은 오염수 방류 결정을 비판하는 한국 정부의 대응에 대해선 우려 입장을 표명했다”고 보도했다.

모테기 대신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제기 손해배상소송 판결 및 강제동원 피해자 관련 대법원 판결 문제에 대한 일본 측 입장을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위안부 소송 문제에 대해선 적절한 조처를 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고 강제징용 소송에 대해선 일본 정부가 수용할 수 있는 해결책을 한국 측이 조기에 제시해야 함을 강조했다. 기존 일본 정부의 입장을 재확인한 것.

이에 대해 정 장관은 일본 측의 올바른 역사인식 없이는 과거사 문제가 해결될 수 없음을 강조하며 위안부 및 강제동원 피해자 관련 우리 입장을 설명했다.

이에 앞서 외교부는 이날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런던 G7 외교·개발장관회의 참석을 계기로 5월 5일 오전(현지 시간) 안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 및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대신과 한미일 외교장관 회의를 갖고 한반도 문제 관련 3국간 협력 방안 및 역내 정세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며 “한미일 외교장관은 북한·북핵 문제 관련 그간 3국이 긴밀히 소통해 온 점을 평가하고, 앞으로도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의 실질적 진전을 위해 공조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블링컨 장관은 미국 측의 대북정책 검토 결과를 한일 양측에 설명했으며, 세 장관은 향후 대북정책 추진 과정에서도 3국간 계속 긴밀히 소통·협력해 나가기로 했다”며 “아울러, 3국 장관은 한미일 협력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역내 평화·안보·번영을 증진시키기 위한 호혜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협력을 지속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통일경제뉴스 는 신문윤리강령과 인터넷신문윤리강령 등 언론윤리 준수를 서약하고 이를 공표하고 실천합니다.
  • 법인명 : (사)코트린(한국관광문화발전연구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내수동 75 (용비어천가) 1040호
  • 대표전화 : 02-529-0742
  • 팩스 : 02-529-0742
  • 이메일 : kotrin3@hanmail.net
  • 제호 : 통일경제뉴스
  • 등록번호 : 서울 아 51947
  • 등록일 : 2018년 12월 04일
  • 발행일 : 2019년 1월 1일
  • 발행인·편집인 : 강동호
  • 대표이사 : 조장용
  •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성섭
  • 통일경제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3 통일경제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kotrin3@hanmail.net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