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많은 선진국을 중심으로 주요국의 출산율이 급감하고 있다고 미국 경제매체 월스트리트저널(WSJ)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프랑스의 올해 1월 신생아 수는 작년 동월보다 13.5%나 줄었다.
특히 이탈리아의 경우 작년 12월 신생아 수는 21.6%나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이탈리아의 통계 기관이 15개 도시의 집계치를 기초로 추산한 수치다.
이탈리아의 공식 수치가 나와 있는 작년 1~10월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감소율은 3.3%였다.
일본도 지난해 12월 신생아 수가 9.3%나 줄었다. 역시 지난해 1~10월에는 2.3% 줄었으나 감소율이 크게 치솟았다.
벨기에, 헝가리, 오스트리아 등도 비슷한 추세다.
저널은 코로나19 상황이 1년가량 이어지면서 그 전부터도 출산율이 하락세이던 미국, 유럽, 동아시아의 많은 나라 출산율에 큰 타격을 줬음을 보여주는 조사 결과나 초기 데이터가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의 경우 올해 신생아가 약 30만명 줄 것으로 싱크탱크 브루킹스연구소는 작년 12월에 전망한 바 있다.
중국도 2020년 인구 자료가 아직 발표되지 않았으나 몇몇 지방 정부의 보고를 보면 출생아 수 감소율이 두 자릿수에 달했다고 저널은 소개했다.
이와 관련해 저널은 코로나19에 따른 보건 위기와 경제난 때문에 많은 사람이 연애와 결혼을 미루고 출산을 연기하거나 포기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미국의 임신문제 전문 비영리 연구기관인 구트마허 연구소가 작년 4~5월 벌인 조사에서도 응답 여성의 3분의 1이 코로나19를 이유로 임신 연기를 원하거나 더 적은 자녀를 갖기를 원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인구 통계학자들은 역사적으로 전쟁이나 전염병, 경제 위기 등 충격에 따른 출산율 하락이 일시적 현상으로 그친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사례들도 있다며 위기가 길어지면 출산율이 정상화되지 않을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
오스트리아의 '인구·글로벌 인적자원을 위한 비트겐슈타인 센터' 토마스 소보트카 연구원은 모든 증거가 선진국들의 출생아 감소를 가리키고 있다면서 "불확실성의 기간이 길어질수록 출산율에 더 영구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물론 한국도 이런 우려에서 예외는 아닌 것 같다.
지난달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출생·사망통계(잠정)'를 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출생아 수는 27만2천400명으로 전년(30만2천700명)보다 3만300명(-10.0%) 감소했다.
이에 따라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넘어서는 '데드크로스'가 발생하면서 인구가 3만3천명의 자연감소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