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환자가 3100만명을 돌파했다. 사망자 수도 100만명에 가까와졌다.인도가 글로벌 확산세를 이끄는 가운데 미국과 브라질이 뒤따르고 있고, 최근 유럽지역의 확산세가 다시 가파라졌다. 실시간 국제 통계사이트인 월드오미터(Worldometer)에 따르면 21일 오전 10시(한국시간) 기준 전 세계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는 3122만 4249명으로 나타났다. 사망자는 96만 5373명이다.인도의 하루 신규 확진자 수는 이날도 9만명에 근접해 누적 확진자 수 549만명에 육박하고 있다.확진 환자 수 1위인 미국은 이날 3만3천여명의 확진자를 배출해 총 확진자 수 700만명을 돌파했다. 이어 3위인 브라질이 1만6천여명의 확진자를 추가해 454만 5347명의 누적 확진자를 기록했다. 이어 4위인 러시아가 누적 환자 수 110만3251명, 5위인 페루가 76만 4865명을 기록했고 , 이밖에 콜롬비아 75만 9398명, 멕시코 69만 6121명, 남아프리카 66만 1656명, 스페인 66만 1334명, 아르헨티나 62만 4934명 등으로 집계됐다. 해외유입을 완전 차단했던 국가인 홍콩, 대만, 베트남, 몽골은 각각 홍콩 5110명(115위), 베트남 1168명(165위), 대만 556명(174위), 몽골 351명(183위) 등이다.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 수 역시 미국이 20만 4124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2~10위는 브라질 13만 6965명, 인도 8만7974명, 멕시코 7만3358명, 영국 4만1859명, 이탈리아 3만6692명, 페루 3만1569명, 프랑스 3만1674명, 스페인 3만795명, 이란 2만4518명 등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일본은 1500명, 홍콩 113명, 베트남 38명, 대만 9명 등이며 몽골은 아직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았다.
국제 | 전선화 기자 | 2020-09-21 13:23
전 세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환자가 3100만명을 눈앞에 두고 있다. 사망자 수도 100만명에 가까와졌다.인도가 글로벌 확산세를 이끄는 가운데 미국과 브라질이 뒤따르고 있고, 최근 유럽지역의 확산세가 다시 가파라졌다. 실시간 국제 통계사이트인 월드오미터(Worldometer)에 따르면 20일 오전 10시(한국시간) 기준 전 세계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는 3097만 7249명으로 나타났다. 사망자는 96만 1373명이다.인도의 하루 신규 확진자 수는 이날도 92,800명에 달해 누적 확진자 수 540만명에 육박하고 있다.확진 환자 수 1위인 미국은 이날 4만2천여명의 확진자를 배출해 총 확진자 수 696만 7403명을 기록했다. 이어 3위인 브라질이 3만여명의 확진자를 추가해 452만 8347명의 누적 확진자를 배출했다. 이어 4위인 러시아가 누적 환자 수 109만7251명, 5위인 페루가 76만 2865명을 기록했고 , 이밖에 콜롬비아 75만 8398명, 멕시코 69만 4121명, 남아프리카 65만 9656명, 스페인 65만 9334명, 아르헨티나 62만 2934명 등으로 집계됐다.일본은 7만 8073명으로 세계 45위이며, 한국은 누적 확진자 2만2975명으로 세계 77위이다. 해외유입을 완전 차단했던 국가인 홍콩, 대만, 베트남, 몽골은 각각 홍콩 5010명(115위), 베트남 1068명(165위), 대만 506명(174위), 몽골 311명(183위) 등이다.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 수 역시 미국이 20만 3824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2~10위는 브라질 13만 6565명, 인도 8만 6774명, 멕시코 7만 2858명, 영국 4만 1759명, 이탈리아 3만 5692명, 페루 3만 1369명, 프랑스 3만 1274명, 스페인 3만 495명, 이란 2만 4118명 등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일본은 1495명, 홍콩 103명, 베트남 35명, 대만 7명 등이며 몽골은 아직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았다.
국제 | 전선화 기자 | 2020-09-20 14:54
@방콕=로이터연합뉴스 태국 학생운동 세력과 반정부 단체들이 19일 수도 방콕에서 2014년 쿠데타 이후 최대 규모의 반정부 집회를 열었다.일부 집회 참석자들은 왕실 문제 언급이라는 금기를 깨고 군주제 개혁을 강하게 요구하고 나섰다.19일 일간 방콕 포스트 등 현지 언론과 외신에 따르면 학생단체인 '탐마삿과 시위 연합전선'은 이날 오후 2시(현지시간) 방콕 시내 탐마삿 대학의 타쁘라찬 캠퍼스에서 반정부 집회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주최 측은 최다 10만명이 참여할 것으로 기대했고, 경찰도 집회 참석자가 5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이날 비가 내리는데도 오전부터 학생 수백명이 탐마삿 대학으로 몰리자 애초 집회를 불허했던 대학 측은 승강이 끝에 걸어 잠갔던 정문을 개방했다.이어 참석자가 꾸준히 늘어 경찰 추산 최소 5천명으로 불었고, 블룸버그 통신은 수만 명이 운집했다고 보도했다.인근에 있는 왕궁 맞은편 사남 루엉 광장으로도 대규모 인파가 몰렸다.쁘라윳 짠오차 총리가 2014년 일으킨 쿠데타 이후 최대 규모다.9월 19일은 탁신 친나왓 전 총리가 2006년 쿠데타로 축출된 날이기도 하다.태국의 반정부 집회는 지난해 3월 총선 과정에서 젊은 층의 광범위한 지지를 많은 퓨처포워드당(FFP)이 올해 2월 강제 해산되면서 촉발했고, 현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된 7월부터 다시 불붙었다.주최 측은 애초 군부 제정 헌법 개정, 의회 해산 및 총리 퇴진과 새로운 총선 실시, 반정부 인사 탄압 금지 등을 촉구하면서 세를 불려 나갔다.군부정권이 2017년 개정한 헌법은 정부가 상원의원 250명을 지명하고, 총리 선출 과정에 국민이 뽑은 하원의원과 동등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해 군부의 장기집권 수단으로 전락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그러다가 태국에서 금기시되던 군주제 개혁 문제가 등장하기 시작했고, 점차 반정부 집회의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왕실 모독죄 철폐와 경제적 상황을 고려한 왕실 예산 편성, 왕실의 정치적 견해 표현 금지 등의 요구가 쏟아지고 있다.'탐마삿과 시위 연합전선'을 이끄는 빠누사야 시니찌라와타나꾼은 "우리가 왜 쁘라윳 정권을 축출하고 군주제를 개혁할 필요가 있는지 국민에게 알리고 소통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군주제 개혁 이슈는 코로나19 팬더믹(세계적 대유행)에 따른 경기침체로 올해 태국의 국내총생산(GDP)이 8%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데도 왕실 예산은 16%나 인상한 89억8천만바트(약 3천356억원)로 편성돼 더 확산하는 추세다.특히 왕실이 보유한 38대의 여객기 및 헬기 유지 비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이 커지는 형국이다.이날 집회 참석자들은 "봉건제 타도, 국민 만세"를 연호하기도 했다.사정이 이렇게 돌아가자 쁘라윳 총리는 반정부 집회는 표현의 자유를 보장한다는 측면에서 허용하겠지만, 군주제 개혁 요구는 용인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집회 주최 측은 밤새 반정부 집회를 이어간 뒤 20일 거리 행진을 벌일 계획이라고 밝혔다.주최 측은 애초 20일 오전 총리실로 행진하겠다고 밝혔다가 구체적인 행진 방향은 당일 밝히겠다고 입장을 변경했다.현지 경찰은 집회 현장 주변에 경력 1만명을 배치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국제 | 전선화 기자 | 2020-09-19 20:12
전 세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3천만명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사망자 수도 93만명을 넘어 100만명에 육박하고 있다.하지만 하루 확진자수가 30만명 이하로 떨어지면서 글로벌 증가세는 다소 주춤하고 있다. 실시간 국제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 집계에 따르면 16일 오전 10시 기준(한국시간) 전 세계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2천971만5686명을 기록했다. 누적 사망자는 93만8천명으로 집계됐다.이날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과 비슷한 29만명을 기록했다.세계 최다 감염국인 미국은 이날 3만6천여명의 신규 확진자가 추가돼 총 678만8025명의 누적 감염자 수를 기록했다. 누적 사망자 수는 20만명을 돌파했다.2위를 달리는 인도는 다시 9만명대의 신규 확진자 수가 나오면서 이날 누적 확진자 수 500만명을 돌파했다.인도의 누적 확진자수는 501만8천명이고, 사망자 수는 8만2100명으로 집계됐다. 브라질은 이날 확진자수가 다시 3만5천명대로 늘면서 누적 환자수 438만명을 돌파했다. 사망자 수는 13만3천명을 넘었다. 유럽최다 감염국인 러시아는 누적 확진자 107만4000명, 사망자 수는 2만1천명대를 기록했다.러시아에 이어 10만 명 이상의 확진자를 기록한 유럽 국가는 스페인 56만8554명, 영국 36만7,676명, 프랑스 36만5924명, 이탈리아 29만3,515명, 독일 26만9,791명, 우크라이나 15만5,789명 등으로 집계됐다.남미 대륙에서는 브라질에 이어 페루에서 73만명에 가까운 확진자가 나왔으며, 칠레도 43만명을 돌파했다.중동에서는 이란이 401명을 넘어섰으며, 사우디아라비도 34만명을 넘는 확진자 수를 기록했다.
국제 | 정연미 기자 | 2020-09-16 12:55
전 세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3천만명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사망자 수도 93만명을 넘어 100만명에 육박하고 있다.실시간 국제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 집계에 따르면 15일 오전 10시 기준(한국시간) 전 세계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2천943만4686명을 기록했다. 누적 사망자는 93만2천명으로 집계됐다.이날 신규 확지자 수는 전날(31만명)보다 다소 줄은 26만명에 그쳤다.세계 최다 감염국인 미국은 이날 3만8천여명의 신규 확진자가 추가돼 총 674만9025명의 누적 감염자 수를 기록했다. 누적 사망자 수는 19만9,541명이다.2위를 달리는 인도는 최근 9만명대의 신규 확진자 수가 다소 줄면서 이날 8만2000명대를 기록했다.인도의 누적 확진자수느 492만7천명이고, 사망자 수는 8만명대로 집계됐다. 브라질은 이날 확진자수가 2만명대를 보이며 누적 환자수 435만명을 기록했다. 사망자 수는 13만명을 넘었다. 유럽최다 감염국인 러시아는 누적 확진자 106만8000명, 사망자 수는 2만명을 각각 넘어섰다.러시아에 이어 10만 명 이상의 확진자를 기록한 유럽 국가는 스페인 56만5554명, 영국 36만5,676명, 프랑스 36만2924명, 이탈리아 29만1,515명, 독일 26만8,791명, 우크라이나 15만3,789명 등으로 집계됐다.남미 대륙에서는 브라질에 이어 페루에서 72만명에 가까운 확진자가 나왔으며, 칠레도 42만명을 돌파했다.중동에서는 이란이 40만명을 넘어섰으며, 사우디아라비도 33만명을 넘는 확진자 수를 기록했다.
국제 | 전선화 기자 | 2020-09-15 11:59
충남도가 첫 발을 뗀 ‘탈석탄 금고’ 규모가 56개 기관 148조 8700여억 원으로 확대된다. 양승조 지사 인사(사진=충남도 제공) 금융기관들의 투자가 국내·외 석탈발전에서 재생에너지로 방향을 바꾸고, 탈석탄 선언까지 이끌어 내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2020 탈석탄 기후위기 대응 국제 컨퍼런스 (사진=충남도 제공) 도는 지난 8일 예산 스플라스 리솜에서 ‘2020 탈석탄 기후위기 대응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기후위기 시대, 그린뉴딜과 정의로운 전환’ 방향을 국내·외 전문가들과 논의하기 위해 마련한 이날 행사에는 양승조 지사와 김명선 도의회 의장, 마이클 대나허 주한캐나다대사 등 49명이 행사장에 직접 참가했다.또 반기문 국가기후환경회의 위원장과 아미나 모하메드 UN 사무부총장, 이회성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의장 등 국내·외 정부 및 기관·단체 대표 등이 영상 또는 온라인으로 참여했다.행사는 개막식, 전국 탈석탄 금고 선언식, 메인세션, 세부세션 등의 순으로 진행했다.탈석탄 금고는 자치단체 등이 재정을 운영하는 금고 선정 시 평가 지표에 탈석탄과 재생에너지 투자 항목을 포함, 금융기관의 석탄화력발전 투자를 줄이고 재생에너지 투자 확대를 유도하기 위한 정책이다.도는 지난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전국 최초로 탈석탄 금고 정책을 도입, △탈석탄 선언 △석탄화력 투자 여부 △친환경 에너지 전환 실적 등을 평가해 금고 선정에 반영한 바 있다.이날 탈석탄 금고 선언에는 대구·대전·울산·세종·경기·충북·충남 등 7개 광역 시·도, 서울·부산·인천·충남 등 11개 시·도 교육청, 충남 15개 시·군을 비롯한 전국 38개 기초자치단체가 동참했다.이들 56개 기관의 연간 재정 규모는 총 148조 8712억 원에 달한다.56개 기관은 선언을 통해 “우리의 지구는 그동안 인류가 발생시킨 온실가스로 인한 기온상승으로 폭염, 가뭄, 폭우, 새로운 전염병 등 인류를 위협하는 다양한 이상징후들이 나타나고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이어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해서는 기후위기의 주원인인 온실가스를 대량 발생시키는 석탄화력발전 투자를 지양하고, 재생에너지 투자 확대 등 온실가스 배출을 적극적으로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그러면서 이들 기관은 금융기관의 석탄화력발전 투자를 중단시키고, 재생에너지 분야 투자를 확대할 수 있도록 금고 지정 시 탈석탄 및 재생에너지 투자 항목을 평가 지표에 반영하는 등 기후금융 확산을 위해 노력키로 약속했다.56개 기관은 이와 함께 탈석탄 금고 지정을 확산해 화석에너지의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촉진하며, 이 과정에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정의로운 전환에도 앞장서기로 했다.양승조 지사는 “기후변화는 그 어떤 위험보다 심각하게 지금 우리 인류의 삶 전반을 위협하고 있다”며 “보다 절박한 심정으로 세계가 함께 힘을 모으고 실천을 다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양 지사는 이어 “깨끗한 지구와 인류의 미래를 향한 충남의 노력은 더 단호하고 효과적으로 계속될 것”이라며 △탄소중립사회 구현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 및 재생에너지 확대 등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양 지사는 또 금융기관이 분야별 투자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 국민 누구나 알 수 있도록 ‘기후 금융 공시제도’ 도입을 제안했다.탈석탄 금고 선언식에 앞서서는 UN 사무총장 재직 때 ‘파리기후변화협약’을 주도한 반기문 위원장, 사이먼 스미스 대사, 이회성 IPCC 의장 등이 기조연설을 가졌다.기조연설을 통해 반 위원장은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해 금융과 제도, 고용 등 사회 전반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개막식 및 전국 탈석탄 금고 선언식 이후에는 ‘국내외 그린뉴딜 추진 방향 : 정의로운 전환을 중심으로’를 주제로 메인세션이 이어졌다.윤순진 서울대 교수 사회로 열린 메인세션에서는 애나 소브착 EU 집행위원회 에너지총국 정책조정관이 ‘전환 중인 석탄 지역을 위한 EU의 이니셔티브’를, 알리나 관 주한캐나다대사관 이등서기관이 ‘탈석탄 기간 중 캐나다 지역사회 지원’을 주제로 각각 발표했다.우리나라를 대표해서는 김상훈 환경부 그린뉴딜TF팀장이 ‘한국형 그린뉴딜 정책’을, 여형범 충남연구원 연구위원이 ‘충남의 정의로운 전환 추진 과제’를 소개했다.메인세션 이후 6개 세부세션은 코로나19에 따라 온·오프라인을 병행해 실시했다.세션1은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가 주관하고 충남에너지전환네트워크와 충남연구원 등이 참여해 ‘충남 탈석탄 정의로운 전환 - 당사자들의 목소리와 향후 과제'를 주제로 개최했다.세션2에서는 주관 기관인 기후솔루션이 ‘지자체 재생에너지 입지 규제 현황과 개선 방안 - 태양광 이격거리 규제를 중심으로'를 주제로 국내 재생에너지 입지 규제 현황을 살피고, 유럽(이탈리아, 스페인 등)의 사례를 소개하는 자리를 마련했다.온라인으로 연 세션3은 녹색기술센터 주관으로 글로벌 녹색성장을 주도하는 국제기구인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독일의 에너지전환을 견인하고 있는 부퍼탈연구소, 주한독일대사관, 국가 에너지기술연구개발을 수행하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국내 기후기술 정책연구를 담당하는 녹색기술센터의 연구자 및 담당관이 참여해 ‘지역사회 혁신형 기후 기술을 충남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를 주제로 발표한 뒤 토론을 가졌다.전국 탈석탄네트워크가 주관한 세션4에는 녹색연합, 환경운동연합, 경남환경운동연합 등이 참여해 ‘석탄 화력발전 소재 지역의 현황과 2030 탈석탄을 위한 전략’을 주제로 논의를 진행했다.세션5는 기후변화청년모임 빅웨이브와 청년기후긴급행동이 공동 주관했다.전국 청(소)년 기후활동가가 국내 최초로 함께 모여 ‘전국 청(소)년 기후대응 운동 전략과 방안 모색'을 주제로, 대만 350 활동가 량 이(Liang Yi)와 캐나다 슬레이터 쥬웰-켐커(Slater JEWELL-KEMKER) 영화감독 등의 발제를 듣고, 국내 청(소)년의 기후위기 대응 운동 전략과 국제 공조 방안을 논의했다.세션6은 지역에너지전환네트워크 주관으로 기후위기대응·에너지전환 지방정부협의회 등이 참여, ‘탄소중립 도시의 도전과 과제 - 교통편 : 탄소제로 교통체계의 쟁점과 대안'을 주제로 한 발표 뒤 교통 부문 온실가스 감축 및 관리방안을 논의했다.
국제 | 한광현 선임기자 | 2020-09-14 18:41
전 세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2천900만명을 넘어섰다. 하루 신규확진자는 31만명에 육박해 역대 최다 기록을 경신했다.실시간 국제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 집계에 따르면 14일 오전 10시 기준(한국시간) 전 세계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2천917만5686명을 기록했다. 누적 사망자는 92만8천명으로 집계됐다.이날 신규 확진자수 30만8천명은 역대 하루 동안 발생한 가장 많은 확진자 수다. 기존에 하루 최다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 6일 집계된 30만7157명이었다.이날도 인도는 10만명 가까이 신규 확진자가 추가돼 연일 9만명대를 넘으며 글로벌 확산세를 이끌었다.이날 인도의 신규 확진자는 9만3천명에 달해 누적 확진자수 485만명으로 세계 2위를 달리고 있다. 사망자 수는 다소 적어 8만명을 기록하고 있다. 세계 최다 감염국인 미국은 이날 3만2천여명의 신규 확진자가 추가돼 총 670만8025명의 누적 감염자 수를 기록했다. 누적 사망자 수는 19만8,541명이다.브라질은 이날 확진자수가 1만5천명을 넘어서 누적 환자수 433만명을 기록했다. 사망자 수는 13만명을 넘었다. 유럽최다 감염국인 러시아는 누적 확진자 106만3000명, 사망자 수는 2만명을 각각 넘어섰다.러시아에 이어 10만 명 이상의 확진자를 기록한 유럽 국가는 스페인 56만2554명, 영국 36만3,676명, 프랑스 36만924명, 이탈리아 28만9,515명, 독일 26만5,791명, 우크라이나 15만1,789명 등으로 집계됐다.남미 대륙에서는 브라질에 이어 페루에서 72만명에 가까운 확진자가 나왔으며, 칠레도 42만명을 돌파했다.중동에서는 이란이 40만명을 넘어섰으며, 사우디아라비도 33만명을 넘는 확진자 수를 기록했다.
국제 | 전선화 기자 | 2020-09-14 14:09
전 세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수가 하룻새 33만명 불어나 누적 환자 수가 2천865만명을 넘어섰다.사망자는 92만명에 달했다.특히 인도의 신규 확진자가 9만8천명에 달해 단일국가 하루 발생자 수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12일 오전 10시 기준(한국시간) 세계 실시간 통계인 월드오미터 코로나19 발생 현황에 따르면 누적 확진자 수는 2천864만8,312명으로 집계됐다. 총 사망자는 91만0,053명으로 나타났다.최근 미국과 브라질은 확산세가 다소 주춤하고 있지만 인도는 여전히 무서운 기세로 글로벌 확산세를 이끌고 있다.인도는 이날도 10만명 가까이 신규 확진자가 추가돼 누적 확진자수 466만명으로 세계 2위를 달리고 있다. 사망자 수는 다소 적어 7만7천여명을 기록하고 있다. 세계 최다 감염국인 미국은 이날 4만7천여명의 신규 확진자가 추가돼 총 663만6025명의 누적 감염자 수를 기록했다. 누적 사망자 수는 19만7,441명이다.브라질은 이날 확진자수가 4만명을 넘어서 누적 환자수 428만명을 기록했다. 사망자 수는 13만명을 넘었다. 유럽최다 감염국인 러시아는 누적 확진자 105만2000명, 사망자 수는 2만명을 각각 넘어섰다.러시아에 이어 10만 명 이상의 확진자를 기록한 유럽 국가는 스페인 55만7554명, 영국 35만9,676명, 프랑스 35만5,024명, 이탈리아 28만5,515명, 독일 26만0,791명, 우크라이나 14만7,789명 등으로 집계됐다.남미 대륙에서는 브라질에 이어 페루에서 71만명을 넘는 확진자가 나왔으며, 칠레도 42만명을 돌파했다.중동에서는 이란이 40만명을 넘어섰으며, 사우디아라비도 33만명을 넘는 확진자 수를 기록했다.
국제 | 전선화 기자 | 2020-09-12 14:46
전 세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2800만명을 넘어섰다. 미국이 655만명에 가까워 1위이고, 이어 인도와 브라질이 400만명대로 3개국이 전체의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다.10일(현지시간) 오전 10시 기준(한국시간) 실시간 통계 사이트 월드오미터의 각국 코로나19 현황에 따르면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자수는 하룻새 30만명 가까이 불어나 2801만5천명을 기록했다.이날 미국과 브라질은 확산세가 다소 주춤했지만 인도는 여전히 무서운 기세로 글로벌 확산세를 이끌고 있다.특히 중남미에서는 코로나19 사망자가 30만 명을 넘어섰다.세계 최다 감염국인 미국은 이날 3만5천여명의 신규 확진자가 추가돼 총 654만9025명의 누적 감염자 수를 기록했다. 누적 사망자 수는 19만5,241명이다.이어 인도는 이날도 신규 확진자수 9만5천명으로 폭증하며 누적 환자수 446만3천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다소 적어 7만5천여명으로 집계됐다. 브라질은 하루 확진자수가 3만4천명대로 급증하며 누적 환자수 420만명을 기록했다. 사망자 수는 12만8천명을 넘었다. 유럽 최다 감염국인 러시아는 누적 확진자 104만1000명, 사망자 수는 2만명을 각각 넘어섰다.러시아에 이어 10만 명 이상의 확진자를 기록한 유럽 국가는 스페인 52만3554명, 영국 35만3,676명, 프랑스 33만1,024명, 이탈리아 28만4,515명, 독일 25만7,791명, 우크라이나 14만1,789명 등으로 집계됐다.남미 대륙에서는 브라질에 이어 페루에서 70만명에 가까운 확진자가 나왔으며, 칠레도 42만명을 돌파했다.중동에서는 이란이 38만명을 넘어섰으며, 사우디아라비도 32만명에 가까운 확진자를 기록했다.
국제 | 전선화 기자 | 2020-09-10 13:02
전 세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누적 사망자가 90만명을 넘어섰다. 미국이 20만명에 가까워 1위이고, 이어 브라질과 인도가 뒤따르고 있다.실시간 국제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9일 오전 10시 기준(한국시간)으로 전 세계 코로나19 사망자는 90만1천명을 기록했다.이날 누적 확진자 수는 2,772만명을 넘어 3천만명대를 향해 가고 있다.이날 미국과 브라질은 확산세가 다소 주춤했지만 인도는 여전히 무서운 기세로 글로벌 확산세를 이끌고 있다.세계 최다 감염국인 미국은 이날 2만8천여명의 신규 확진자가 추가돼 총 651만4425명의 누적 감염자 수를 기록했다. 누적 사망자 수는 19만4,541명이다.이어 인도는 이날도 신규 확진자수 9만명대에 근접하며 누적 환자수 436만7천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다소 적어 7만4천여명으로 집계됐다. 브라질은 하루 확진자수가 1만7천명대로 내려 와 누적 환자수 416만명을 기록했다. 사망자 수는 12만7천여을 넘었다. 유럽 최다 감염국인 러시아는 누적 확진자 103만6000명, 사망자 수는 2만명에 근접하고 있다.러시아에 이어 10만 명 이상의 확진자를 기록한 유럽 국가는 스페인 52만1554명, 영국 35만1,676명, 프랑스 32만9,024명, 이탈리아 28만1,515명, 독일 25만5,791명, 우크라이나 13만9,789명 등으로 집계됐다.남미 대륙에서는 브라질에 이어 페루에서 70만명에 가까운 확진자가 나왔으며, 칠레도 42만명을 돌파했다.중동에서는 이란이 38만명을 넘어섰으며, 사우디아라비도 32만명에 가까운 확진자를 기록했다.
국제 | 전선화 기자 | 2020-09-09 12:29
브라질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이 뚜렷한 진정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인도에서는 여전히 무서운 기세로 확산하며 브라질을 넘어 세계 2위를 굳혔다.8일 오전 10시(한국시간) 기준 세계 실시간 통계인 월드오미터 코로나19 확진자 현황에 따르면 인도의 일일 신규 확진자 수는 7만5천명대로 총 환자수 428만명을 기록했다.이는 전날의 9만명대에서 다소 감소한 것이지만 글로벌 확산세를 이끌고 있다.이날 전 세계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20만명 늘어나 누적 감염자 수 2천748만명에 육박했다. 총 사망자 수는 90만명에 근접했다.세계 최다 감염국인 미국은 이날 2만5천여명의 신규 확진자가 추가돼 총 648만6425명의 누적 감염자 수를 기록했다. 누적 사망자 수는 19만3,541명이다.이어 브라질은 하루 확진자수가 1만명대로 가라 앉으 누적 환자수 415만명을 하회했다. 사망자 수는 12만7천여명에 달했다. 유럽 최다 감염국인 러시아는 누적 확진자 103만1000명, 사망자 수는 2만명에 근접하고 있다.러시아에 이어 10만 명 이상의 확진자를 기록한 유럽 국가는 스페인 51만9554명, 영국 34만9,676명, 프랑스 32만7,024명, 이탈리아 27만9,515명, 독일 25만3,791명, 우크라이나 13만7,789명 등으로 집계됐다.남미 대륙에서는 브라질에 이어 페루에서 69만명에 가까운 확진자가 나왔으며, 칠레도 42만명을 돌파했다.중동에서는 이란이 38만명을 넘어섰으며, 사우디아라비도 32만명에 가까운 확진자를 기록했다.
국제 | 전선화 기자 | 2020-09-08 11:45